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Inverted Page Table
- 자바 문제풀이
- 스프링부트
- 자바 알고리즘
- 2단계 Page Table
- 웹개발
- Segmentation with Paging
- 알고리즘
- jpa
- 문제풀이
- 프로세스 할당
- linux
- 리눅스
- annotation
- 다단계 페이지 테이블
- 웹 프로그래밍
- springboot
- Allocation of Physical Memory
- 프로세스 불연속 할당
- Page Table의 구현
-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과정 39기
- 스프링
- 프로세스 동기화
- 메모리 관리
- Effective Access Time
- spring
- CS
- 운영체제
- Shared Page
- 메모리의 불연속적 할당
Archives
- Today
- Total
GrowMe
TIL : 학습의 방법 본문
메타인지
# 고정형 vs 성장형 마인드셋
# 메타인지 트레이닝 가이드
# 데일리 회고 가이드
*고정형 마인드셋
- 인간의 재능과 능력 : 고정적 / 새 도전을 두려워하고 노력을 경시하는 결과를 낳음
- 자신의 실패를 타고난 재능과 능력의 부족으로 봄
- 자신의 결함이 드러날까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고 기피함
-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에만 집중
- 다른 사람들의 비판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고 피드백에 방어적인 모습을 보임
*성장형 마인드셋
- 인간의 재능과 능력 : 노력을 통해서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함
- 결과보다는 성장하는 과정에 집중함
- 새로운 도전을 성장의 기회로 보고 자신이 잘 못하는 일이라도 적극적으로 참여함
- 실패를 성장의 발판으로 생각할 수 있음
- 다른 사람들의 비판을 건설적인 것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수용함
*뇌의 가소성
뇌는 사용할수록 자라나는 특징을 지님 -> 성장형 마인드셋을 장착해 꾸준함과 끈기를 갖고 한 일을 지속하면
과학적으로 뇌의 지속적 성장이 가능하다.
*메타인지란
- 자기 자신을 보는 거울
- 스스로를 믿는 능력
- 나의 완벽하지 않은 모습을 인정하는 것
*메타인지와 학습
→ 자신의 현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, 자신에게 맞는 방법과 속도를 찾아가는 과정
*메타인지 트레이닝 가이드
1. 거울 보기
-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보지 못하고, '알고 있다'는 착각에 빠질 수 있음
- 애써 아는척을 하기도함(자기객관화로의 길의 함정)
- 무엇을 아는지, 모르는지 정확한 구분이 필요
2. 데일리 회고
- 계획 단계 - 학습 전(10분)
-오늘 나의 학습 목표는?
-학습할 내용 중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?
-모르는 내용은?
- 점검 및 평가 - 학습 후(30분)
-새롭게 배운 내용은?
-새롭게 배운 것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나?
-오늘 학습한 내용 중 아직 이해되지 않은 불확실한 내용은 무엇인가?
-이해되지 않은, 불확실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?
의사 코드
# 의사코드 - 슈도코드
# 의사코드를 작성하는 이유
*의사코드 - 슈도코드(pseudo code)
-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, 무엇을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지 사람의 언어로 먼저 작성하는 것
여기 네 개의 종이컵 중 하나에는 맛있는 사탕이 있습니다. 맛있는 사탕을 먹기 위해서는 사탕이 나올 때까지 종이컵을 하나씩 뒤집어 확인해야 합니다. 네 개의 종이컵을 순서대로 뒤집어, 맛있는 사탕을 찾는 과정을 의코드로 작성합니다.
1. 종이컵의 개수만큼, 종이컵을 하나씩 뒤집는다.
2. 뒤집은 종이컵에 사탕이 있다면
3. 먹는다.
↓코드 작성
for(int cupNumber=1; cupNumber<=4; cupNumber++){ // 4개의 컵을 하나씩 확인하면서
if (candy) { // 만약 사탕이 있다면
eat(); // 먹는다
}
}
*의사코드를 작성하는 이유
실무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코딩하지 않고, 디자인ㆍ세세한 기능 모두 계획 후, 코드로 옮겨 개발을 진행한다.
이를 작은 코드부터 차근차근 미리 연습하면 실무에서도 잘 적용 가능할 것이다.
학습방법론
# SQ3R 방법론
#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
# Marty Lobdell의 효율적 학습법
*SQ3R 방법론
- Survey : 목차를 보고 훑어보기
- Question : 질문하기
- 훑어보는 와중에 질문
- "이것을 왜 배울까?"
- "어디에 쓰일까?"
- "어떻게 쓰일까?"
- 훑어보는 와중에 질문
- Read : 궁금한 점을 찾았으니 적극적으로 읽기
- 스스로 질문한 것을 중점으로 읽고, 자신의 질문에 답을 내려봅니다.
- Recite : 책을 덮고 최대한 무슨 내용이었는지 소리내어 말해보기
- 이 개념은 왜 배웠는지, 어디에 쓰일지, 어떻게 쓰일지 생각 & 말로써 정리합니다.
- Review : 기억한 것이 맞는지 확인하기
- 우리 스스로 답을 내렸을 때, 그 답이 맞는지 확인해야합니다.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. - 테스트, 검색, 아고라 스테이츠(질문) 등
*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
- 시간이 지날수록 없어지는 머릿속의 기억들은 반복적으로 복습할수록 망각 속도는 느려지고, 오래 기억에 남게 됨
- 복습은 꼭 필요함
*Marty Lobdell의 효율적 학습법
- 세션을 나누어서 공부하기( 30분 단위로 공부하고 5분씩 쉬기 )
- 보통 대학생의 경우, 자신이 공부한 것을 이해하는데 25-30분 정도 소요 된다고 합니다.
- 예를 들어, 50분짜리 강의를 들었을 때 대부분의 지식 습득은 첫 30분 내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30분 이후로는 학습의 효율성이 줄어들게 됩니다. 이러한 상태에서 5분의 쉬는 시간을 가지면, 효율성이 다시 100이 됩니다.
- 공부 전용 공간 만들기
- 공부를 할 때는 공부만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합니다. 대부분의 학생이 침실, 부엌 또는 식탁, 공용 구역(거실) 등에서 공부를 하기도 하지만, 각 공간은 각 쓰임에 맞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공부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은 아닙니다.
- 하와이 대학교의 "스터디 램프" 연구( 집중력 올리는 연구 )
- 공부할 때는 스터디 램프를 켜고, 집중력이 흐려지면 램프를 끄기 & 책상에서 멀어지기.
- 음악은 가사가 없는 배경잡음만 듣기
- 적극적으로 공부하고, 숙면 취하기
- 자신에게 물어보기(나만의 워딩으로 정리). "나는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?"
- 어떠한 단어가 있으면 그 단어에 나만의 의미를 부여합니다.
- 스스로 시험하고, 기억을 테스트합니다.
- 잠을 잘 자야합니다.
- 잠을 자지않고 공부하는 것(수면부족)은 고의로 공부를 방해하는 것과 동일입니다.
- 자신에게 물어보기(나만의 워딩으로 정리). "나는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?"
- 노트 필기하고, 수업 직후 복습하기
- 나만의 워딩으로 요약하기
- 개념에 대해 잘 이해가 안되면, 바로 질문
- 다른 사람에게 가르쳐주기
- 다른 사람들에게 배운 내용을 가르쳐보는 것이 가장 좋은 학습방법입니다.
- 실제로 내가 내용을 이해했는지 판가름이 됩니다.
- 다른 사람들에게 배운 내용을 가르쳐보는 것이 가장 좋은 학습방법입니다.
- 책을 제대로 이용하기
- 마티 교수는 책을 제대로 읽는 방법으로 SQ3R 방식을 추천하고 있습니다.
- 니모닉(기억술)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공부하기
- 니모닉(기억술)은 팩트를 외우는데 좋습니다.
- 정보의 기억을 위한 방법으로, 특히 숫자의 나열처럼 직관적인 관계가 없어 외우기 어려운 정보에 다른 정보를 연결하여 외우기 쉽도록 하는 방법
- 여러 기억술이 있지만 마티교수가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상호작용하는 이미지입니다. 이상하거나 더 감정적으로 연상 될수록 좋다고 합니다.
- 예) Car-탄수화물 그리고 pro-단백질은 각각 그램당 4칼로리입니다
- 자동차(탄수화물. Carbohydrate) 에는 4개의 바퀴가 있고, 프로 서킷카(단백질. Protein)에도 4개의 바퀴가 있습니다.
- 예) Car-탄수화물 그리고 pro-단백질은 각각 그램당 4칼로리입니다
- 니모닉(기억술)은 팩트를 외우는데 좋습니다.
'TIL(Today I Learn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L : 컴퓨터와 프로그래밍 (0) | 2022.04.26 |
---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