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웹개발
- 스프링부트
- 운영체제
- 웹 프로그래밍
- 자바 문제풀이
- 문제풀이
- linux
- Allocation of Physical Memory
- 메모리의 불연속적 할당
- 프로세스 동기화
- springboot
- CS
- annotation
- 프로세스 불연속 할당
- 메모리 관리
- 프로세스 할당
- Segmentation with Paging
- 2단계 Page Table
- Shared Page
- Inverted Page Table
- spring
- Effective Access Time
- 자바 알고리즘
- Page Table의 구현
- 알고리즘
- 스프링
- 코드스테이츠 백엔드 과정 39기
- 리눅스
- jpa
- 다단계 페이지 테이블
Archives
- Today
- Total
GrowMe
[Lunux] 환경변수 설정 본문
리눅스 환경변수 설정
# 환경변수의 의미
# 환경변수 설정
# set
*리눅스 환경변수 설정해보기
- Linux 기반의 운영체제에서는 시스템 자체에 전역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시스템에 설정한 전역변수를 환경변수라고 합니다.
- 프로그램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값들을 의미
- 환경변수 설정창 열기
1. 환경 변수를 검색하여 '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'을 열어주세요.
2. 환경 변수를 눌러줍니다.
3. 아래의 창에서 환경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User에 대한 사용자 변수는 특정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지역 환경변수이며, 시스템 변수는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전역 환경변수입니다.
- 환경변수 추가하기
1. 새로 만들기를 누르고, 환경변수 이름과 값을 입력합니다.
2. 확인을 누르면 변경사항이 적용됩니다. (확인을 누르지 않으면 변경 사항이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.)
3. cmd를 검색하여 연 다음, set 명령어를 입력하여 환경변수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'etc .. (with Progrmmaing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로깅에 대하여 (0) | 2022.07.02 |
---|---|
Git의 기본적인 사용방법 (0) | 2022.06.22 |
[Linux] 패키지와 사용권한 (0) | 2022.06.22 |
[Linux] 텍스트 에디터 nano (0) | 2022.06.22 |
[Linux] CLI 의 기본 명령어 (0) | 2022.06.22 |
Comments